외국인을 위한 국내 생활 가이드 추천

외국인이 한국 생활에서 가장 헷갈리는 문화 7가지7 Most Confusing Korean Customs for Foreigners (Explained Clearly)

naddal 2025. 4. 17. 15:55

한국은 독특하고 다양한 사회적 규범과 관습이 있는 나라입니다. 외국인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문화적 차이가 종종 당황스럽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래는 외국인이 특히 헷갈려 하는 한국 문화 7가지입니다.

 

Korea has unique social customs that may confuse foreigners. Here are seven cultural practices that often surprise or puzzle newcomers.

 

 

밥 다 먹었는데 왜 그릇을 안 치우지?
한국에서는 식사를 마친 뒤 손님이 먼저 자리를 뜨면, 직원이 그 후에 그릇을 치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서빙이 빠르지 않다고 오해할 수 있지만 예의의 표현입니다.

 

In Korea, it's customary for restaurant staff to wait until guests leave the table before clearing dishes. It’s not poor service—it’s politeness.

 

 

어른 앞에서 두 손으로 컵 들기
술자리나 식사 자리에서 어른 앞에서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고개를 살짝 돌려 마시는 것이 예의입니다.

 

When drinking with elders, it’s polite to hold your cup with both hands and turn your head slightly when drinking.

 

반말과 존댓말의 경계
친해졌다고 바로 반말을 쓰면 무례하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관계가 깊어지기 전까지는 존댓말을 유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Using informal speech (banmal) too soon may be seen as rude. Stick to formal language (jondaetmal) until the relationship allows otherwise.

 

 

신발 벗고 들어가는 공간
집은 물론이고, 일부 식당, 병원, 전통 숙소 등에서도 신발을 벗어야 할 수 있습니다. 실내화가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You may need to remove your shoes not only at homes but also in some restaurants, clinics, and traditional lodgings.

 

 

손을 흔들 때 손바닥을 아래로?
한국에서는 손을 흔들 때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오라고’ 손짓합니다. 반대로 손바닥을 위로 올리면 동물 부르는 제스처로 오해받을 수 있습니다.

 

In Korea, beckoning someone is done with the palm facing down. Doing it with the palm up may be considered rude or animal-related.

 

 

나이에 민감한 문화
처음 만난 자리에서 나이를 묻는 경우가 흔합니다. 이는 상대와의 언어 사용(존댓말/반말)이나 호칭을 정하기 위한 문화적 습관입니다.

 

Asking someone’s age early in a conversation is common in Korea to determine appropriate speech levels and terms of address.

 

 

정(情) 문화
한국인들은 ‘정’이라는 감정에 민감합니다. 이는 논리보다는 관계와 감정이 우선되는 경우가 많음을 의미합니다.

 

The concept of "jeong" (emotional bond) is important in Korea—it often outweighs logic in relationships.